본문 바로가기

시설안내

교육시설

실외교육시설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년)선생이 세상을 떠난 후 4년 뒤인 1574년(선조7)에 제자들과 유림에서 퇴계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워졌다. 선조 임금으로부터 석봉(石峯) 한호(韓濩)가 쓴 ‘도산서원’의 편액을 하사 받았으며, 매년 춘추로 향사하고 있다.

도산서원은 창건 후 퇴계 학통의 중심 서원으로 영남유림의 중추적 역할을 하였으며 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아니한 서원중의 하나이다.

퇴계명상길

퇴계선생께서는 도산서당에서 제자를 가르치고 학문을 탐구하시기 위해 늘 이 산길을 오르내리시었다.

자연과 생활속에서 진리를 찾고자 하셨던 퇴계선생은 솔바람 새소리를 벗 삼으시며조용하고 아름다운 이러한 자연을 좋아하셨고, 명상과 사색을 즐기셨다.

그리고 평소 청량산을 무척 좋아하시어 어린 시절에 청량산 청량정사(淸凉精舍)에서 공부를 하시었고, 평생 남기신 한시(漢詩) 2,300여 수 가운데 (望山)(산을 바라보다)이란 시에서 창량산의 빼어남을 읊으셨다.

퇴계 종택

퇴계선생의 종택이 자리잡고 있는 이 곳은 동방유학의 종장인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년)선생의 불천위 사당을 모신 종택으로 (口字)형 종택건물과 솟을대문 두채 종택의 정자인 추월한수정(秋月寒水亭)과 뒤편에 위치한 사당(祠堂)등 총 5동 34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퇴계선생 묘소

겨레의 스승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년)선생의 천년 유택(幽宅)이다.

비석 앞면에는 관작을 쓰지 않고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고 간결하게 적혀 있는데, 이는 선생의 유명(遺命)을 따른 것이다. 선생께서 손수 지은 자명(自銘)과 제자인 고봉 기대승이 지은 묘갈명이 새겨져 있다.

현재의 비는 1905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이육사 문학관

이육사 문학관은 항일 민족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 선생의 문학 사상과 나라 사랑의 정신을 길이 전하고 널리 알리고자 2004년 7월 30일에 이육사의 고향인 원천리 불미골에 건립했다.

2층의 문학관에는 선생의 흉상과 대표 시 '광야'를 조각한 시비를 만날 수 있고, 육사의 육필원고, 독립운동 자료, 시집, 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조선혁명군사학교의 훈련 모습과 베이징 감옥 생활 등도 재현해 놓았다. 육사 선생의 문학 사상과 민족정신을 체험할 수 있는 산 교육장이다.

하계마을 독립운동기적비

하계마을은 진성 이씨 퇴계선생 후손들의 집성촌으로 1975년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마을은 수몰되고 대부분의 문화재는 분산, 이건되었다.

하지만 인근의 도산서원을 비롯하여 퇴계종택, 퇴계묘소, 이육사 생가터 등 마을을 중심으로 각종 문화재와 함께 전통고가옥이 어우러져 있는 전통마을이며, 3대에 걸쳐 독립운동가를 배출시킨 가문을 비롯하여 25명의 독립운동가와 15명의 조선조 문과 급제자를 배출시킨 독립운동의 성지이자 선비정신의 산실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 유일의 집성촌이다.

이 유서 깊은 마을에 선열들의 선비정신과 애국애족정신을 받들어 역사의 증표, 후손들의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해 나가기 위해, 2004년 10월 7일에 하계마을 독립운동기적비 건립추진위원회에서 독립운동기적비를 세웠다.

퇴계기념공원

2001년 퇴계 이황의 탄신 500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문학과 업적을 기림으로써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이황의 종가(宗家)인 퇴계 종택 옆이자 본원의 앞마당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황을 대표하는 <성학십도(聖學十圖)> 와 <도산12곡(陶山十二曲)>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퇴계시를 찾는 길>을 길잡이로 하여 13개의 시비(詩碑)가 세워져있다. 투호(投壺) 시연대와 야생화 동산, 정자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며 사군자 숲과 퇴계명상길 등의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학봉종택

의성김씨 학봉종택은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이 살았던 가옥이다. 김성일은 류성룡(柳成龍)과 더불어 퇴계 이황의 고제(高弟)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다. 27세에 사마시, 1568년(선조1)에 증광문과에 합격한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학봉종택은 원래 지금의 자리에 있었으나 지대가 낮아 자주 침수된다며 김성일의 8세손 김광찬(金光燦)이 1762년(영조38) 이곳에서 100여m 떨어진 현재 소계서당(邵溪書堂)이 있는 자리에 옮겨 살았고, 의성김씨 종택이 있던 자리에는 소계서당을 지었다 한다.

그러다 1964년 종택을 다시 원래의 자리인 현 위치로 이건하였는데, 이때 종택의 안채만 옮기고 사랑채는 남겨두어 소계서당으로 쓰도록 하였고, 소계서당을 개조하여 종택의 사랑채로 꾸며 사용하게 되었다.

유교문화박물관

우리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알리고 국학자료의 기탁을 활성하고자 건립되었다. 유교문화박물관은 일반전시실과 주제전시실, 기획전시실을 비롯하여 영상실, 세미나실, 수장고, 문화사랑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30만 여점의 귀중한 한국학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기탁된 자료에 대해서는 상설전시 및 기획전시, 도록 발간 등을 통해 수시로 공개하고 있다.

위로